Page 29 - 월간붓다 2019년 10월호 (Vol 380호)
P. 29
이 시대가 요구하는 평온의 통찰력
29
월간붓다
10
월호
곳에서 한국 일본 베트남으로 이동했으며 별도의 경로를 전법이 되었습니다.
통해 티베트와 몽골로 이동했습니다. 그 가운데 중국에 석가모니 붓다는 초전 법륜을 통해 세 가지를 강조하
서 구법을 하여 나란다 승원에서 수학한 현장법사는 북 셨습니다. 이는 문 사 수를 통한 윤리와 집중 그리고 지
동아시아의 대승불교를 정립하였습니다. 티베트불교는 혜이며 이타심을 그 근간에 둡니다. 붓다의 가르침은 빠
어떻게 정립이 되었을까요. 티베트의 조캉사원에 모셔 알리와 산스크리트어의 두 가지 방식으로 기록이 되었습
진 조우 붓다는 송첸캄포 법왕이 중국의 공주를 왕비로 니다. 더불어 현실에서 구현하는 방도에 있어서 보살도
모시면서 조성된 것입니다. 그 이후에 티송데첸 법왕은 가 체계적으로 논의가 되었습니다. 오늘 우리가 봉독한
나란다 승원의 학장 산타락시타를 모셔 티베트불교를 구 반야심경은 그러한 보살도의 정수를 담고 있습니다. 붓
축하였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경로와 방식으로 불교는 다의 두 번째 설법에 해당하는 중전 법륜에서 공성이 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