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 월간붓다 2019년 10월호 (Vol 380호)
P. 66

인간불교





                                    불법 안에서 사성제의 중요성







                                                                                    ●
                                                                            성운星雲 스님

                                                                        대만 불광산사 개산조







            (지난호에 이어서)
                                                                                            불법이란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만, 불법의 개론만 해

            (3)   사성제는 불교의 강목: 유교에 ‘사유팔덕四維八德, 삼강                                            도 수십 가지가 넘는다. 현대의 불법 개론 어느 것 하

                오상三綱五常’이 있듯, 불교의 강목綱目은 ‘고집멸도苦集                                              나도 사성제와 떨어져 생각할 수 없다. 현대의 불교 초

                滅道’이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널리 전파되어 있는                                               학자들은 사성제를 연구하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대승의 8종 불교와 태국, 시킴sikkim, 미얀마 등의 부                                           사성제를 완벽하게 안다면 불법의 근본을 다 아는 것

                파불교, 그리고 밀교의 각 종파 등은 모두 사성제를 강                                              이므로, 계속해서 그 밖의 구구절절한 것들을 배우기

                목으로 삼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3장 12부에서 불                                             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교경전의 요체가 풀이되어 나왔고, 수많은 근본교리의                                                수많은 법회에서 부처님은 사제법을 여러 차례 거듭
      66
       인간불교     강목에 모두 사성제를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에, 사성                                               설하셨다. 사성제가 인생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 설명

                제를 이해하고 설명하고 수행하기만 하면 불법을 이해                                                하시면서 지극히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다. 한번은 부

                한다고 할 수 있다.                                                                 처님께서 목찬의 가시에 찔려 발가락에 상처를 입었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