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월간붓다 2019년 10월호 (Vol 380호)
P. 67

불법 안에서 사성제의 중요성





                다. 아쟈타삿투 왕(Ajatasatru, 阿社世王)이 크게 놀라자                                        성제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여기서 오승五乘이란

                부처님은 사성제의 진리를 설하시면서 대중의 슬픔과                                                 해탈解脫에 이르게 하는 부처님의 다섯 가지 가르침을

                상심을 위로했다고 한다.                                                               뜻한다.

                                                                                            불교는 모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본부가 없고 지
                                                                                                                                                                   67
            (4) 사성제는 불교의 상징: 현대의 학교나 사회집단에는                                                 나치게 자유스러우며 계파도 많다고 하는 사람이 있
                                                                                                                                                                    월간붓다
                모두 상징물이 있다. 국가에는 ‘국기’가 있고, 기독교에                                             다. 또한 지식을 다 갖추지도 않은 불자들이 제각각 떠

                도 ‘십자가’란 상징이 있다. 그리고 불교의 상징은 바로                                             들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왜곡해서 불교 본연의 모습을
                                                                                                                                                                       10
                법륜法輪이며, 법륜은 사성제로부터 ‘삼전법륜三轉法輪’                                               잃어버리게 만들었다고 한다. 불교가 만약 통합하려고                                            월호

                이 나온 것이다.                                                                   한다면 앞으로 이 사제의 ‘삼전법륜’을 가지고 세계의

                불교는 인도에서 생겨나 전파되어 세계 각지로 퍼져                                                 불교를 통일해야 하며, 탁월한 식견을 가진 인사가 이

                나갔지만, 지역의 풍속과 관습, 언어와 문화의 차이                                                목표를 위해 힘써 주기를 바란다.

                에 따라 처지에 맞는 불교 형식으로 발전되었다. 불교

                가 전래된 각 지역마다 불교의 근본교리에 대한 해석                                               2. 사성제에 대한 부처님의 비유 설법

                이 다르거나 불교에 대한 인식이 상이할 수는 있지만,

                법륜과 사성제를 불교의 상징으로 삼는다는 데에는 전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사성제는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세계 불교도라면 응당 이의가 없을 것이다.                                                 얻으신 후 녹야원鹿野苑에서 다섯 비구에게 처음으로 설하

                현재 세계불교도우의회世界佛敎徒友誼會는 오색기를 모                                             신 법이다.

                임의 상징 깃발로 삼았는데, 이는 오승공법五乘共法을                                               사성제는 남전·북전 불교와 한전·장전 불교 모두가

                의미하며, 오승공법이라 할지라도 그 근본은 역시 사                                            존중하는 가장 기본교의이자, 세간과 출세간의 해탈에 이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