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월간붓다 2020년 1월호 (Vol 383호)
P. 65

본분사 어긋날까 금강계단에서 마음결 헤아리다





               가 톡 터지는 느낌이었다.

                  지금은 피안에 드신 월하 큰스님께서 보실까, 혹시 묵언 설법 내리실까,

               내 본분사本分事가 어긋날까, 염려될 때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                                                             65
                                                                                                                   월간붓다
               와 가사를 봉안한 금강계단에 엎드린다.




                     영축산 가슴팍서 솔향 묻은 바람 되어                                                                           1 월호

                     업의 거품 거둬내는 삭발의 의식인양

                     불사리 금강계단서 오체투지 하여 본다




                     하늘 빛 종소리가 억겁의 털 떨어주듯

                     자장慈藏의 주장자로 무명 끊은 불보佛寶도량

                     그 결을 한 눈금 헤아릴까 사리탑에 눈 맞춘다

                                               -시조 「본분사 어긋날까」 전문-




                  그리고 불사리탑을 잘 볼 수 있는 산령각에서 삼배하고 그 앞 작은 연못

               ‘구룡신지九龍神池’를 돌면서 이 절 터를 지키겠다는 호위무사  같은 용은

               묵언 중일까 하는 생각을 해 봤다. 부처님께서 미륵불을 위해 준비하셨다

               는 봉발탑 앞을 지나 다시 일주문으로 나왔다. 계절계절 갖가지 꽃을 피우

               는 길을 따라 장경각에 오르기 위해서다.

                  성파 큰스님의 원력으로 부처님의 존귀한 말씀을 흙에 새기고 불에 달구

               어 만든 16만 도자경판을 만나본다. 억겁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진리처럼

               도자경판도 영원히 지

               지 않을 법열의 꽃으로

               존재되고 있다. 불지종

               가 국지대찰의 면모를

               갖추고 ‘산사山寺, 한국

               의 산지승원山地僧院’이

               라는 이름으로 유네스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