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월간붓다 2018년 05월호 (Vol 363호)
P. 29

「법성게」에 담긴 철학적 함의







                  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법장은 ‘사사무애’ 법계 하나만으로 4종의 법계를 모두 설명하고 있
                  다. 그 결과 독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게 한다. 물론 이 ‘혼란’은 독자들 쪽의 혼란이                               27
                  지, 법장 쪽이 ‘혼란’을 일으켰다는 뜻은 아니다.                                                        간 월 붓 다
                   이 ‘혼란’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뒷날 청량 징관은 두순의 작품으로 알려진 『화엄법계관
                  문』을 사용하여, 『화엄경』에 ‘담긴 교리의 범위(義理分齊)’를 구획한다. 청량 징관은 『화엄법                                      5 호 월
                  계관문』을 이용하여 『화엄경』의 ‘의리분제’를 설명한다. 『청량화엄소초』에서는 네 번째의
                  ‘주변함용관周徧含容觀’을 설명하는 지점에 청량 스님은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그만
                  큼 이 부분이 『화엄경』의 ‘원교’ 법문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의상 스님의 「법성게」는 ‘원교’의 ‘교상’에만 ‘국
                  한’해서 해명하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말한 법장과 같은 ‘혼란’을 독자들에게 불러일으키
                  지는 않는다. 그리하여 『화엄경』에 등장하는 ‘원교’의 논리 구조(logical organization)를 게송

                  형식으로 잘 밝혀내었다. 그러나 「법성게」가 왜 망자의 재 의식에 사용되는지는 역시 모르
                  겠다.

















                                    삼호주유소





                         건강은 가장 큰 은혜이고 만족은 가장 큰 재산이다.
                         믿고 의지함은 가장 귀한 벗이고 열반은 가장 높은 행복이다.

                                                                                  《법구경》



                                                         광진구 광장동 239-6번지
                     ☎문의 02)455-7200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 1번 출구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