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월간붓다 2018년 11월호 (Vol 369호)
P. 33

우리가 신앙하는 부처님







                  리하여 보살지의 마지막 단계에 오르면 보는 것이 완전해진다. 만약 업식이 없어지면 보
                  는 견상見相이 없어지는 데, 모든 부처님의 법신은 이것이니 저것이니 하는 모습으로 볼 수                                  31
                  없기 때문이다.                                                                            간 월 붓 다


                   ③ 법신과 색신의 관계                                                                              11 호 월


                   어떤 사람이 이렇게 묻는다. “만약 모든 부처님의 법신이 색상을 여의었다면 어떻게 색
                  상을 나타낼 수 있겠는가?”
                   답한다. “곧 이 법신은 색의 본바탕이기 때문에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른바 본래부터
                  색色과 심心은 둘이 아니다. 왜냐하면 색의 본성은 곧 지智인 까닭에 색의 본바탕에는 형체
                  가 없는 것을 두고 지신智身이라 이름하며, 지성智性은 곧 색色인 까닭에 법신이 모든 곳에

                  두루 한다고 하는 것이다.
                   나타낸 색이 일정한 모습이 없으니 중생의 마음을 따라 시방세계에 무량한 보살과 무량
                  한 보신과 무량한 장엄을 나타내되 각각 차별되어 모두가 일정한 모습이 없으면서도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 이는 심식心識의 분별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진여가 가지
                  고 있는 자재한 작용의 기능 때문이다.











                                    삼호주유소





                         건강은 가장 큰 은혜이고 만족은 가장 큰 재산이다.
                         믿고 의지함은 가장 귀한 벗이고 열반은 가장 높은 행복이다.

                                                                                  《법구경》



                     ☎문의 02)455-7200                     광진구 광장동 239-6번지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 1번 출구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