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월간붓다 2018년 11월호 (Vol 369호)
P. 49

마음챙김 놀이





               온 현장 경험과 유명 심리학자와 의사, 교육가, 티베트 스님들의 조언과 자문을 받아 과학적인
               명상 놀이 책으로 공신력을 더했다.
                 마음챙김(명상)은 이미 서구의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지혜와 자비로 삶을 돌보는 데 유용한                                  47
               도구로 쓰고 있다. 예술가, 스포츠인, 기업인, 학생, 성직자 등 널리 활용되면서도 유독 아동과                                  붓 간 다 월
               청소년은 소외되는 경향이 있었다. 명상은 가만히 앉아 있는 것, 그래서 아이들은 못할 것이라는
               고정관념 때문이었다. 그러나 아이들은 단지 앉아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걸 못 견딜 뿐이다. 명                                        11 호 월
               상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생각들(지혜)을 심어 주고 나와 세상을 바라보게 한다. 모르는 것을 새롭
               게 알게 되는 것! 이것은 호기심 왕성한 아이들이 싫어하는 일이 아니라 가장 좋아하는 일이다.
               실제로 저자는 교육 현장에서 자신이 계발한 명상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놀랍도록 잘 적응하고
               나아가 일상에서 변화되는 모습을 목격했다.


                 호흡, 한 컵의 물, 얼음 한 조각, 별, 바람을
                 이용한 쉽고 재미있는 놀이로 6가지 삶의 기술을 기르다

                 마음챙김 놀이는 아이들이 주의를 집중하고 감정을 조절하며, 어떤 상황에도 침착하고 따뜻한 마
               음으로 응대하는 능력을 키우는 좋은 방법이다. 이 책 『마음챙김 놀이Mindful Games』는 이 삶의 기술
               들 가운데 여섯 가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집중하기Focusing, 고요하게 하기Quieting, 보기Seeing, 새
               롭게 보기Reframing, 돌보기Caring, 연결하기Connecting, 모두 여섯 가지이다.
                 현재 순간의 경험(호흡의 느낌, 주변의 소리 등)에 주의를 집중할 때 마음은 고요해진다. → 마음이
               고요해지면 지금 일어나는 일을 더 명료하게 볼 수 있는 머릿속 공간이 만들어진다. → 자기 몸
               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일을 알아차리게 되면 몸의 감각(“나는 지금 안절부절 못하고 있어”라던가 “가슴이
               두근거려” 같은)이 일어날 때 곧바로 말과 행동으로 드러내지 않고 멈추어 돌아보는 신호로 삼을 수
               있다. →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신체 감각에 말과 행동으로 즉각 반응하는 이른바 ‘자동 반응성’
               이 줄어들고, 이로써 자기 안과 밖에서 일어나는 일을 더 또렷하게 의식할 수 있다. 자신이 처한
               상황을 지혜와 자비로써 너그럽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아이들이 모든 순간
               은 연결되어 있으며, 그물망처럼 서로 원인이 되고 조건이 되어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다면
               돌보기와 연결하기라는 마음의 성질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온다.


                 아이들에게 부모가 줄 수 있는 가장 큰 재산은
                 자신의 마음을 다룰 줄 아는 능력이다

                 이 책은 6가지의 삶의 기술을 60가지 놀이로 만들어 체험하도록 한다. 놀이에 활용되는 도구
               들은 호흡, 그림책, 우리 몸, 바람개비, 한 컵의 물, 바람, 별 등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
               들이다. 이 친숙한 도구들은 일상에서 마음챙김을 쉽고 재미있게 실천할 수 있도록 이끈다. 궁극
               적으로 저자가 마음챙김과 명상을 통해 아이들에게 가르쳐 주고 싶은 것은 ‘자유에 이르는 길’이
               다. 그것은 ‘승리, 성취, 과시’에 관한 길이 아니다. 어떤 상황에서도(성장하면서 만나게 되는 모든 어려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